큐시즘 밋업 프로젝트 중 네이버 클라우드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NCP(네이버 클라우드) 서버를 만들어보자.
(신규회원의 경우 10만원의 크레딧을 준다. 나의 경우 지원을 받아 더 많은 크레딧이 있지만, 내가 적용한 서버는 8만원대의 금액이므로 초기회원에게 주는 크레딧으로 충분할 것이다.)
https://www.ncloud.com/product/compute/server
1. 콘솔 클릭
2. Services 클릭
왜 인지 모르겠지만 현재 한국에선 classic 플랫폼이 지원되지 않는다. 네이버 클라우드를 찾아보면 classic도 지원이 된다고 나와있지만... 이유는 모르겠다. (classic이 더 저렴하다.)
3. Services 클릭
4. 서버 생성
5. 콘솔 선택
6.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후 서버 생성
7. 서버 설정하기 (VPC, Subnet은 미리 생성을 해야함)
8,9. 인증키 설정
7번에서 다음을 누르면 인증키를 선택해야 한다.
미리 생성한 인증키가 있다면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를 사용해도 괜찮고, 없다면 새로 생성하자.(나의 경우 새로 생성했다.)
10. ACG 선택
나의 경우 default로 설정을 했다.
(이 글에선 다루지 않지만, https 설정을 하기 위해 acg의 설정을 변경해줘야 한다. 80, 443 그리고 8080 포트를 추가로 열어주었다.)
11. 서버 생성
이렇게 서버 생성을 완료했다.
끄~읏~!
인 줄 알았지만 서버를 생성했으니 들어가봐야지!
12. 터미널을 통해 서버에 들어가보자(mac)
mac기준으로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ssh root@IP주소 -p 22
그 후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한다.
여기서 비밀번호는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을 통해 알 수 있다.
쨋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구~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