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컴퓨터 공부하는 블로그입니다. 공부하는거 다 적어요~!
조각조각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블루/그린 무중단 배포를 진행했다.이번 글에선어떻게 아키텍쳐가 변화해 왔는지왜 무중단 배포로 변경했는지어떻게 블루/그린 무중단 배포를 구현했는지의 순서로 적어보겠다! (무중단 배포가 궁금한 사람들은 해당 부분만 찾아서 보면 된다.)아키텍처가 변화해온 과정1. 초기 아키텍쳐 초기 상태는 위와 같았다.Github Actions를 사용해 CI/CD 파이프라인을 구성했다. Nginx를 통해 프록시를 설정했고, Docker를 사용해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띄웠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DB는 AWS를 사용했다. CI/CD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뤄졌다.테스트 및 빌드컨테이너 레지스트리에 이미지를 pushNCP에 docker image pullDocker를 통해 띄움.초기 배포에 ..
· ✨ 회고
(글을 올리는 지금은 큐시즘 30기가 끝난 시점이다! 그러나 이 글은 합격하자마자 썼던 글이다 ㅎㅎ 30기가 끝이 난 지금 나의 다짐? 같던 후기를 읽어보니 지난 3~4개월이 스쳐지나간다! 최종후기도 따로 적을 예정이니 많관부!)개발 공부를 시작하며 주로 혼자 개발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보니 협업을 하고싶었 얻고 싶었고, 개발 동아리에 들어가고 싶었다.다양한 개발 연합 동아리가 있지만 그 중 큐시즘에 들어가고 싶었는데 운이 좋게도 합격을 하게 되었다.지원준비하면서 다른 분들의 후기가 많은 도움이 되었기에 나도 후기를 작성해보려 한다.1. 서류1. 큐시즘 지원 동기를 포함해 자신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700자 이내) 가장 고민을 많이 했던 부분이었다.이 부분은 큐시즘 유튜브가 큰 도움이 되었..
· ✨ 회고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밋업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대략 2~3달간의 시간을 쏟으며 몰입했던 프로젝트였다. 밀도있는 시간을 보냈기에 실제 시간보다 2배 이상의 시간을 보낸 것만 같은 기분이다.밋업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후기인 만큼 어떤 마음으로 이 프로젝트에 들어오게 되었는지를 시작으로 주저리주저리 적어볼 생각이다! (개발에 관한 내용은 없다. 두 달간 여러 일을 되돌아 볼 예정이다. 찐 큐시즘 최종 후기는 또 따로 적을 예정이다!!) 팀 선정밋업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여러 아이디어 발제자가 본인들의 멋진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큐넥팅이 있다.큐넥팅은 발제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해 발표하고, 학회원들이 발제자와 아이디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본인이 원하는 아이디어를 찾아가는 날이다!아쉽게도 그날 ..
이번 글에선 refreshToken을 통해 만료된 accessToken을 재발급 받고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보자.프론트엔드 코드는 ReactJS를 사용할 예정이고, 백엔드는 SpringBoot , NestJS를 사용할 예정이다.(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ReactJS, 백엔드 개발자라면 본인이 사용하는 스택의 코드를 보면 된다!) 먼저 JWT 토큰에 대해선 모두 잘 알고있다 생각하고 간단히 설명을 하고 넘어가겠다. (기본적으로 제가 작성하는 모든 글은 프로그래밍을 처음 공부하는 저에게 필요했던 내용들입니다.과거의 제가 알고 싶었지만 찾지 못했던 내용들을 알게된 현재의 제가 과거의 저에게 설명한단 생각으로 쓰는 글입니다.그러니 매우 쉬운 내용도 자세히 풀어서 설명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아..
· 🟩 NCP
큐시즘에 들어오기 위해 지원서를 작성하고 면접을 봤던 순간이 어제같은데 벌써 큐시즘의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더웠던 날씨가 쌀쌀해지고 가을을 넘어 겨울이 다가오는 지금, 좋은 팀원들과 함께하는 밋업 프로젝트를 잊지않기 위해 중간회고를 하려한다.  개발 공부를 하다보면"배포를 진행해야 한다.""로컬에서만 돌아가는 프로젝트는 큰 의미가 없다."같은 얘기를 많이 듣는다. 나도 공감하는 바인데, 배포란게 무료도 아니고 뚝딱~ 되는 것도 아니다. 큐시즘에선 Naver Cloud Platform(이하 NCP)과 협업한다.NCP에서 제공해준 크레딧을 활용해 다양한 인프라 및 AI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돈 걱정 없이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고 배포도 할 수 있다는 뜻!!(큐시즘짱) 중간회고로 우리 프로젝트의 소개 , ..
전호영
컴퓨터 공부하는 블로그